클러스터링 컴퓨터
여러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하나의 컴퓨터를 사용하는것 처럼 구성된 시스템을 말한다.
고계산용 클러스터(HPC), 부하분산 클러스터(LVS), 고가용성 클러스터(HA)로 나눌 수 있다.
고계산용 클러스터 (베어울프 클러스터) (HPC)
클러스터링의 시초로 채널 본딩한 16노드 병렬 컴퓨터를 만들었던 프로젝트 이름을 따서 베어울프라고도 부른다.
부하분산 클러스터 (LVM)
Linux Virtual Server로 대규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의 클러스터링이다.
이용자가 많은 웹서비스에 많이 활용하며, 여러대의 리얼 서버에 부하를 분산해주는 로그밸런서를 두고 운영하는 방법이다.
고가용성 클러스터 (HA)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클러스터로 부하분산 클러스터와 연동하여 많이 사용된다.
로드밸런서에 오류가 발생하여 동작하지 않는다면 리얼서버가 정상이여도 서비스 제공이 중단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Primary Node가 부하분산의 처리를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Backup Node가 Primary Node의 상태를 체크하고 있다가 문제 발생시 서비스를 이어받는다.